연습2

[스크랩] 증상 없는 사랑니, 꼭 뽑아야 하나요?

bmj 2010. 10. 18. 11:20

사랑니, 꼭 뽑아야만하나요?

 

몇 달전, 구강검진을 위해 치과를 찾았습니다. 파노라마 사진도 찍고 여러가지 검사를 받았습니다.

제 사랑니에 문제가 있다더군요.

 

<<잽싸게 사진을 찰칵. 삐뚤어진 제 사랑니 좀 보세요. ㅠㅠ>>

  

위 사진을 보면 양쪽 사랑니가 잇몸안에서 모두 비스듬하게 누워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잇몸위로 자라지도 않은 치아인데, 어떻게 해야하나 걱정이 되기 시작했어요.

 

의사선생님은 대부분의 사람들의 사랑니가 종종 비스듬하게 누워서 자라는 "매복니"형태라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잇몸을 마취한 후 절개를 해 발치해야 한다구요. 그런데 만약 더 자세한 검사를 해본 후 신경선이 지나가는 부위에 사랑니가 근접해있으면 수술 도중 턱의 신경이 약간 손상될 수도 있다는 말씀을 하시며, 그럴 경우에는 일반치과보다는 대학병원 같은 대형규모의 병원을 찾아가보라고...안면이 마비될 수 있다고요 ㅠㅠ

 

단순한 발치가 아닌, 수술해야한다고 생각하니 정말 무서웠습니다. 사실 제 친한 친구 중에 한명이 사랑니가 신경선에 거의 겹쳐있어 대학병원에서 몇 시간동안 수술을 하고 몇일 간은 입원까지 해야할 정도로 많이 심각했던 사례가 있었던지라, 막상 수술을 해야 할지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의사선생님께 질문을 드렸지요.

 

" 지금은 특별히 아픈 증상이 없고, 잇몸 위로 사랑니가 올라온 상태도 아닌데 이를 꼭 뽑아야 하나요?"


 그러자 선생님께서는 사랑니를 일반적으로 뽑는게 기본이긴 하지만, 현재 아프지 않더라도 이를 방치해두면 그 근접해있는 어금니 등의 치아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특히 매복되어 있는 사랑니는 잇몸 염증을 유발하거나 인접해이쓴 어금니에 충치를 유발할 수 있기때문에 발치를 하는게 좋다고요. 그래서 저는 신경선이 덜 지나가는 쪽의 매복사랑니를 발치하였답니다.

 

 사랑니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치아는 28∼32개정도 인데, 사람마다 차이가 나는 이유가 바로 사랑니 때문입니다. 보통 28개의 치아는 인간의 정상적인 생활에 필요한 치아이고, 나머지 4개의 차아가 사랑니로써 치아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사랑니라는 명칭은 보통 사랑을 느낄 나이인 19세에서 21세에 많이 난다고 하여 붙여졌으며, 우리의 치아 중 맨 마지막에 나온다 해서 ‘막니’라 불리기도 합니다. 

 

사랑니는 인체의 장기 중 퇴화되어 가는 과정으로서 음식을 씹는데 별 도움이 되지 않으며, 기형 치아이거나 선천성 결손이 있을 경우 혹은 사랑니가 나기 시작할 무렵에 주위 잇몸에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사랑니는 잇몸 가장 안쪽에 자리잡고 있어 일반적인 양치방법으로는 깨끗히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깨끗이 잘 닦여지지 않은 사랑니가 있으면 자주 입에서 냄새가 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사랑니가 올바른 형태로 자라고 있거나 특별히 아픈증상이 없다면 그대로 두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사랑니가 매복된 형태였고, 그대로 방치했을 경우 주위 치아에 충치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하여 발치를 하였고, 그 후 몇 달동안 각별한 주위를 했답니다. 참고로 사랑니 발치 후에는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입안을 청결하게 관리하고 얼음찜질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켜주는 것이 좋고, 또 흡연이나 음주, 또 빨대를 사용하여 무언가를 마시는 행동을 삼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사랑니에 심각한 통증이 느껴질 때는 이미 다른 치아에 충치를 유발하였거나 염증이나 물혹이 생기는 등의 사례도 있다고 하니 자신의 사랑니가 어떤 형태로 있는지 알지 못한다면 가까운 치과에서 미리미리 구강 검진을 받고 한 번 자신의 치아상태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기자단 이소영 기자

 happy48@hanmail.net

 

다음메인베스트가 됬네요^^와우~감사합니다~

 

 

아래 손가락을 눌러주시는 따뜻한 배려가 글쓴이에게는 큰힘이 됩니다.

(로긴없이도 가능해요^^)


 

 

출처 : 심평원블로그
글쓴이 : 심평원 원글보기
메모 :